1순위

dir - 파일 및 폴더 리스트(same as Linux "ls")
mkdir, md - 디렉토리 만들기 (same as Linux "mkdir")
rm - 폴더 지우기 
rmdir - 폴더 지우기
del - 파일지우기
date - 현재 시간 출력 및 설정
copy - 하나 이상의 파일을 다른위치로 복사합니다.
cls - 화면 깔끔하게 하기 (same as Linux "clear")

cd
1. cd만 입력시 --> 현재위치 
2. cd 디렉토리이름 --> 디렉토리이동 

echo - 메세지를 표시하거나 echo를 켜거나 끕니다. 
exit - cmd 종료하기 
move - 파일 옮기기 
mklink - 바로가기 링크와 하드링크를 만듭니다.
rename - 이름바꾸기 
replace - 
type -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표시 
ver - 윈도우 버전 표시 
help - 도움말 (제일중요한듯..ㅋㅋㅋ)

 

 

2순위

help로 확인해서 사용하자!!

 

 

3순위

calc - 계산기 실행 
control - 제어판 실행 
cmd - 명령프롬포트 실행 
explorer - 인터넷익스플로러 실행
mspaint - 그림판 실행 
mstsc - 원격 데스크톱 실행
notepad - 메모장 실행
nslookup - dns 정보와 연관된 도메인 정보 확인 
ping - 네트워크 상태 확인
telent: telnet 접속 (연결)
tracert - 네트워크 경로 추적 

 

https://library1008.tistory.com/42

 

CMD (명령 프롬프트) 명령어 모음

cmd 명령어 또는 명령 프롬프트 명령어 또는 dos 명령어 라고 다양하게 불리우는 명령어 모음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1. 명령 프롬프트 실행하기 기존의 다른 글에서 자바 버전 확인 /

library1008.tistory.com

 

*참고사항 

WINDOWS cmd에서 리눅스 명령어 쓰던거랑 똑같이 사용할수도 있다!!

# 사용방법 
doskey 사용을 희망하는 명령어 = 기존 명령어 

doskey ls = dir 
doskey clear = cls

참고 링크 

https://bit.ly/2SGg8vV

 

Windows 명령 프롬프트(cmd)에서 ls, clear 명령어 사용하는 방법

리눅스 환경이나 MAC OS 환경에서 터미널을 사용하면서 ls, clear 명령어를 사용하다가 윈도우의 명령 프롬프트로 와서 습관처럼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려하면 위와 같이 'ls'은(는) 내부 또는 외부

somjang.tistory.com

 

https://withcoding.com/112

 

리눅스 vi 에디터 사용법 (vim 단축키 정리)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텍스트 에디터는 vi 에디터(정확하게 말하면 vim 에디터)입니다. 처음 배울 때는 어려워도 조금씩 알고나면 그만한 가치가 있는 프로그램이라 생각합니다. vi 에

withcoding.com

https://jhnyang.tistory.com/54

 

[리눅스, 유닉스]vi (vim) 편집기 기본 사용법, 명령어, 단축키, 동작법 & 문제

[리눅스 / 유닉스 / 셸 프로그래밍 완전 정복 목차 바로가기 ] 가장 많이 사용되고, 꼭 알아야 하는 ~ vi 편집기 사용하기 vi는 다른 편집기들과는 다르게 모드형 편집기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명

jhnyang.tistory.com

리눅스나 유닉스 환경에서는 vi 에디터 혹은 vim 에디터를 기본으로 사용합니다. 윈도우에서는 사용 안 된다.

(윈도우는 gvim 설치 후 사용)

vi는 유닉스 (맥)에서 가능하고 리눅스는 vim을 사용한다. 

 

vim 유용한 단축키 

 

명령모드에서 

v = 복사하고자 하는 영역 지정

y = 내용을 복사

p = 붙여넣기

i = 삽입 

w = 저장

q = 나가기

wq! = 강제로 저장하고 나가기 

등등이 있습니다~~!!

리눅스 삼바서버

삼바(samba)는 Windows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PC에서 Linux 또는 UNIX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이나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프트웨어이다. 

 

간단히 말하면, 서로 다른 운영체제 사이의 자원을 공유하기 위해 개발된 서버가 바로 Samba서버다.

Windows에서 리눅스/유닉스의 공유 폴더와 프린트 같은 자원을 사용하거나, 그 반대로 사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제 우분투에 삼바서버를 설치해보자.

 

우분투에 삼바서버 설치하기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samba samba-common-bin


삼바 유저 및 패스워드 설정하기

$ sudo smbpasswd -a {유저이름} 
  New SMB password : {비밀번호} 
  Retype SMB password : {비밀번호}

// Example 
//  sudo smbpasswd -a cucudas 

원하는 경로에 외부에서 접근할 공유 디렉토리를 하나 생성합니다.

$ mkdir [폴더명]
// Exmaple) $ mkdir ShareBox

삼바 서버 설정하기

$sudo cp /etc/samba/smb.conf /etc/samba/smb.conf_origin  // 원본 파일 백업
$sudo nano /etc/samba/smb.conf

--------------------------------------------------
[ShareBox] 
# window 컴퓨터에서 봤을때 보일 폴더 이름입니다.


# 맨 아래에 다음과 같이 설정하기.

path=/home/jwoh
comment=Welcome to My SAMBA
valid user=songmi
writable = yes
browseable=yes
create mask=0777
public=yes
guest ok =no

# 아직 각 명령어가 의미하는 바를 잘 모름.

삼바 서버 재실행

sudo service smbd restart

우분투 내에서 ip 확인하기

ifconfig

 

윈도우에서 파일창 열고 우분투 내의 ip서버 입력

 

위에서 설정한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

접속완료 

 

- 만약에 권한이 없어서 접속을 못하는 경우

 

여기서 비밀번호와 패스워드를 입력했음에도 네트워크액세스 거절이라고 뜨시는 분들은

"네트워크 오류- 액세스할 수 없습니다 (액세스할 권한이 없습니다.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액세스 권한을 요청하십시오.)"

공유디렉토리에 권한할당이 제대로 안되어있을 수 있습니다

sudo chwon {username}:{group} {폴더 경로} sudo chmod -R 777 {폴더경로}

 

 

이런식으로 폴더의 권한을 할당해주면 문제 없이 엑세스 됩니다!

 

IP 대신에 호스트네임을 지정해서도 접속이 가능한데,

IP번호는 너무 길고 외우기 힘들어서 사용한다고 한다.

https://softtone-someday.tistory.com/6

 

[Ubuntu] 삼바(Samba) 서버 IP 번호 대신 Host 이름 사용하기

삼바 서버를 사용할 때 어떻게 하면 "192.168.0.10"같은 IP 주소말고 "\\MYSAMBA" 와 같은 호스트 이름을 사용 할 수 있을까요? 이 링크에 그에 대한 답변이 있습니다. 잘 적용되는 것 또한 확인 마쳤습니

softtone-someday.tistory.com

다음에 사용할 일이 있으면 위의 링크를 참고해서 사용하도록 하자.

 

퓨티(putty)

 

서버는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어도 단말 장비를 통해서 원격으로 접속하여 작업할 필요가 있다.

이때 윈도우같은 개인 pc 운영체제에서도 서버로 접속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단말장비가 아닌 논리적인 가상 단말기를 제공합니다.

 

접속 방식으로는 Telet, SSH, Rlogin 등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고 있고 가상 단말기로서 가볍고 다양한 설정이 가능한 무료 오픈소스 프로그램입니다.



출처 - https://dololak.tistory.com/24

 

2번 부분에 IP를 입력하고 4번 부분에 SSH를 선택한 다음 5번의 save버튼을 누르고 Open을 누르게 되면 

아이디 비밀번호 입력창이 뜬다. (위에 초기에 설정한 삼바서버 아이디 비번)

아이디 비밀번호를 올바르게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윈도우 컴퓨터로

나의 우분투 서버에 원격접속이 완료되었다.

 

아직은 putty 커넥션 목록에 있는 SSH Telnet Rlogin Serial 등 모르는 용어가 많다.

추후에 자연스럽게 알아 가도록 하자! 

+ Recent posts